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은 사업자 유형(일반과세자, 간이과세자, 법인사업자)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므로, 본인의 유형에 맞는 기간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1. 일반과세자(개인사업자)
일반과세자 중 개인사업자는 1년에 두 번, 즉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확정 신고를 합니다. 예정 고지 납부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예정 신고는 없습니다.
- 제1기 확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1월 1일 ~ 2025년 6월 30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5년 7월 1일 ~ 2025년 7월 25일
- 제2기 확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7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6년 1월 1일 ~ 2026년 1월 25일
2. 법인사업자
법인사업자는 1년에 네 번, 즉 예정 신고와 확정 신고를 각각 두 번씩 진행합니다.
- 제1기 예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1월 1일 ~ 2025년 3월 31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5년 4월 1일 ~ 2025년 4월 25일
- 제1기 확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1월 1일 ~ 2025년 6월 30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5년 7월 1일 ~ 2025년 7월 25일
- 제2기 예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7월 1일 ~ 2025년 9월 30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5년 10월 1일 ~ 2025년 10월 25일
- 제2기 확정 신고:
- 대상 기간: 2025년 7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6년 1월 1일 ~ 2026년 1월 25일
3. 간이과세자
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, 연간 실적에 대해 신고합니다.
- 신고 대상 기간: 2025년 1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- 신고 납부 기간: 2026년 1월 1일 ~ 2026년 1월 25일
4. 부가세 신고 방법 및 유의사항
대부분의 부가가치세 신고는 온라인 국세청 홈택스(HomeTax)를 통해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고: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직접 전자 신고 및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.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.
- 세무 대리인 이용: 세무사 등 전문 세무 대리인을 통해 신고를 위탁할 수 있습니다.
- 세금계산서 확인: 매출/매입 세금계산서(전자세금계산서, 종이세금계산서)와 신용카드 매출전표, 현금영수증 등의 자료를 미리 정리해 두어야 정확한 신고가 가능합니다.
- 가산세 주의: 신고 및 납부 기한을 넘기면 무신고가산세, 납부지연가산세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.
2025년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을 미리 확인하시고, 기한 내에 정확하게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하시어 불필요한 가산세 부담 없이 사업을 영위하시기를 바랍니다.